타임라인
CAMI Labs 개발자
컨트리뷰션
업무 프로젝트
~ 재직 중 (17개월)
주식회사카미 크로스플랫폼 & 풀스택 개발자상세 업무 및 성과
크로스플랫폼 & 풀스택 개발자
- Flutter
- NestJS
- TypeScript
- Dart
- Elixir
- PostgreSQL
- 주식회사 카미는 반려동물 성격유형검사를 필두로 한 다양한 반려동물 양육 관련 검사와 전문적인 컨텐츠를 제공합니다.
- 반려동물 심리검사를 중심으로 한 카미 애플리케이션의 첫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신규 개발을 주도 및 진행했습니다.
- 인프라부터 시작해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최적화, 모바일 앱의 화면 구현과 기능 구현, 공개 및 비공개 테스트와 퍼블릭 출시까지 모든 개발 스테이지를 경험했습니다.
- 클린 아키텍처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구성하고, Riverpod/Freezed/GoRouter 등을 조합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였습니다.
Flutte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
~ 진행중 (12개월)https://cami.kr/download- Riverpod 기반 상태 관리와 Freezed 모델을 통해 앱 상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GoRouter로 복잡한 라우팅 흐름을 처리했습니다.
- Flutter 애니메이션 API를 활용해 자연스러운 화면 전환과 사용자 피드백을 설계했으며, 사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UI/UX 관련 피드백 중 긍정 응답 비율 85% 이상을 달성했습니다.
Nest.js 애플리케이션 개발
~ (4개월)https://cami.kr/landing- 기존 엘릭서 피닉스 프레임워크 기반 시스템과 분리된 신규 서버를 NestJS로 구축해 모바일 앱 백엔드 API를 설계 및 구현했습니다.
- PostgreSQL `pg_stat`를 사용하여 비효율적인 테이블 구조 및 쿼리 병목을 분석하고 개선함으로써 DB 응답 속도를 약 3배 향상시켰습니다.
- 다중 테넌시 데이터 모델 설계 및 권한 기반 접근 제어 로직을 직접 설계 및 구현했습니다.
~ (6개월)
주식회사 위굴리 앱 개발자상세 업무 및 성과
크로스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자
- Flutter
- React Native
- TypeScript
- Dart
- Gradle
- Kotlin
- Swift
- ㈜위굴리는 부천 스마트시티 국토부 사업을 비롯해 공공주택 거주자 대상 카셰어링 플랫폼을 개발해온 모빌리티 스타트업입니다.
- 기존 앱의 Android SDK 이슈 대응 및 신규 Flutter 앱 런칭을 단기간에 주도하며 전체 앱 품질과 성능을 개선했습니다.
- 피그마 디자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컴포넌트화된 UI를 신속하게 개발해 개발 기간을 30% 이상 단축했습니다.
위굴리 마이행복카 앱 유지보수
~ (3개월)https://apps.apple.com/kr/app/위굴리-행복카/id1571834301- Android SDK 33 대응 및 최소 지원 버전 변경에 따른 레거시 오류 대응으로 크래시율 70% 이상 감소.
- 의존성 패키지 충돌 해결 및 빌드 안정화 조치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지속 가능성 확보.
위굴리 프렌즈 신규 앱 런칭
~ (3개월)https://apps.apple.com/kr/app/위굴리-프렌즈/id6462838785- Flutter 기반 팀 카셰어링 앱으로 신규 기획부터 개발, 배포까지 전 과정 참여.
- Figma 플러그인을 활용해 컴포넌트 자동 추출 및 반응형 레이아웃 설계로 개발 속도를 평균 대비 1.4배 향상.
- Google Analytics 기반 유저 분석을 통해 첫 주차 평균 세션 시간 2.1배 증가 성과 달성.
~ (4개월)
지바이크 리액트네이티브 모바일 개발자상세 업무 및 성과
React Native 개발자
- React Native
- TypeScript
- Gradle
- Kotlin
- Swift
- 지바이크는 국내외 50개 도시에서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‘지쿠터’를 운영하는 모빌리티 스타트업입니다.
- 사용자 앱(지쿠)과 운영팀용 앱(그라운드)의 모듈 개선 및 기능 확장을 수행했습니다.
- 리액트 네이티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센서 기반 네이티브 모듈을 직접 개발해 실시간 보행 데이터 처리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.
- Turbo Module, Hermes, Flipper 등 최신 네이티브 모듈 아키텍처와 성능 모니터링 도구를 직접 활용해 성능 최적화 경험을 쌓았습니다.
모션 센서 기반 걸음 수 측정 네이티브 모듈 개발
~ (4개월)https://andrewdongminyoo.github.io/react-native-step-counterhttps://github.com/AndrewDongminYoo/react-native-step-counter- iOS의 CMPedometer와 Android의 SensorManager를 결합하여 걸음 수 측정 데이터를 크로스 플랫폼에서 통합 처리할 수 있는 네이티브 모듈을 개발했습니다.
- Android API 19 이하 기기까지 지원 가능한 저수준 가속도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AOSP 알고리즘을 응용해 걸음 분석 정확도를 95% 이상 달성했습니다.
- React Native Turbo Module 기반 구조로 제작해 JS-Native Bridge 병목을 최소화하고, 평균 응답 속도를 약 2.3배 개선했습니다.
- Hermes, Flipper 기반 성능 추적을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40% 이상 절감했습니다.
~ (7개월)
주식회사비사이드코리아 백엔드/모바일개발자상세 업무 및 성과
백엔드/모바일 개발자
- Flutter
- TypeScript
- GraphQL
- Prisma
- Storybook
- ReactJS
- Python
- AWS Lambda
- 비사이드코리아는 소액주주들이 투자한 기업에 대해 주주 인증 및 결집, 전자서명을 통해 행동할 수 있는 주주 행동주의 플랫폼입니다.
- Flutter 기반 앱과 RedWoodJS 기반 웹의 전반적인 개발에 참여했으며, 백엔드와 모바일 양쪽의 요구사항을 모두 이해하고 구현했습니다.
- Flutter 앱은 시즌 중 의결권 위임, 비시즌에는 보유 주식 자동 인증 및 라운지 집결 기능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.
- Kotlin/Swift 기반 네이티브 기능 연동과 GraphQL API를 통해 고도화된 데이터 연계 기능을 구현했습니다.
- 사용자 1,500명 이상이 실제 의결권 위임 절차에 참여, 사용자 피드백 평균 만족도 4.5점 기록.
의결권 전자위임 크로스플랫폼 앱 개발
~ (4개월)https://bside.page.link/download- 플러터를 사용해 소액주주들에게 캠페인 진행 특정 주식의 의결권을 전자서명으로 위임받아, 주주들의 의견을 집결해 자산운용사가 주주총회까지 전달하는 서비스를 하였습니다.
- 플러터의 머터리얼 UI와 공식 패키지들을 사용해 메인 컴포넌트를 꾸미고, 의결권 위임을 위해 주민등록증 촬영, 전자 서명 저장, 투표 등을 구현했습니다.
- Kotlin(Android) 및 Swift(iOS)를 활용해 외부 스크래이핑 및 공인인증서 모듈과 연동하는 네이티브 브리지 코드 작성.
RedWoodJS 기반 웹 어드민 개발
~ (5주)https://bside.ai/- Prisma 기반 GraphQL API 연동 및 React Storybook을 활용한 UI 컴포넌트 개발.
- AWS SMTP 연동 어드민 메일 발송 기능, 권한 기반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한 운영 도구 백엔드 개발 수행.
- 디자인-개발 사이클 최소화를 위한 아토믹 설계 기반의 UI 컴포넌트 시스템 구축.